본문 바로가기

경제 이야기/세계경제

2025년 미국 기준금리 전망 총정리 금리 동결 가능성 90% 이유는

반응형
SMALL
반응형

2025년 미국 기준금리 전망 총정리|금리 동결 가능성 90% 이유는? 💰

미국은 왜 금리를 쉽게 못 내릴까?
2025년 1분기 역성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연준(Fed)은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고 있습니다. 오히려 금리 동결 확률이 90% 이상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. 이 글에서 그 이유와 배경, 그리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
SMALL

✅ 핵심 요약

• 미국 1분기 GDP: 전 분기 대비 -0.3% 역성장
• 4월 민간 고용: 6만 명 증가, 기대 이하
• 물가 상승률(PCE 기준): 2.6%, 여전히 목표치(2.0%) 상회
• 소비자심리지수: 2021년 이후 최저치
• 연준의 6월 금리 동결 확률: 90% 이상


1. 미국 경제, 숫자는 나쁘지만 금리는 안 내리는 이유는?


● 역성장은 맞지만 ‘침체’는 아님
• 2022년 이후 처음으로 마이너스 성장
• 하지만 소비 지출과 수출 둔화 등 일부 요인에 의한 것으로, 전면 침체는 아님

● 물가가 아직 높다
• PCE 물가 지수 2.6%: 연준 목표치인 2.0%보다 높음
• 인플레이션이 안정되지 않으면 금리 인하는 위험

2025년 3월 미국CPI 소비자물가지수


2. 연준(Fed)은 어떤 선택을 할까?


● 연준 내부의 기조: ‘신중함’
• 빠른 금리 인하는 물가 재상승 리스크
• 시장 예상: 6월 회의 금리 동결 확률 90% 이상 (CME FedWatch)

● 불확실성 요인 많아
• 트럼프 재출마 및 대선 이슈
• 소비 심리 약화, 고용 둔화 등의 혼재된 데이터


3.금리 동결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?


● 한미 금리차 유지 → 원화 약세 지속 우려
• 미국이 금리를 내리지 않으면 한미 기준금리차          유지 혹은 확대
• 이는 원/달러 환율 상승 압력 요인이 될 수 있음

● 대출금리 인하 기대감은 ‘보류
• 미국이 금리를 내려야 한국도 완화적 통화정책 가능
• 개인·기업 대출금리 부담 완화까지는 시간이 필요


🔎 이런 분들은 주목하셔야합니다!! 

• 미국 경제와 금리 이슈에 관심 있는 일반 투자자
• 외환시장, 주식시장에 민감한 자영업자 및 직장인
• 환율, 물가, 대출금리에 영향을 받는 모든 소비자


✅ 마무리


2025년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는 생각보다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.
‘트럼프 침체’ 우려에도 연준이 금리를 유지하는 가장 큰 이유는 물가와 금융시장 안정이기 때문입니다.
지금은 금리 인하 기대보다는,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기입니다.

반응형
LIST